내용으로 건너가십시오.

슬로바키아어 소개

슬로바키아의 방언은 슬로바키아 내 여러 지역의 토착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토착어입니다. 슬로바키아의 방언은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구두로 전해지며, 이 영역에서 단순화 과정을 관찰 할 수있습니다. 슬로바키아의 방언은 3개의 기본군으로 나뉩니다.

슬로바키아 방언의 지리적 분류

a)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은 트렌친, 니트라, 미야바를 비롯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1. 상위 트렌친 방언
  2. 하위 트렌친 방언
  3. 바흐 강 방언
  4. 중위 니트라 방언
  5. 하위 니트라 방언
  6. 트르나바 지역 방언
  7. 자호리에 방언
b)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은 립토우, 오라바, 투리에츠, 테코우, 혼트, 노보흐라드, 게메르 및 즈볼렌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1. 립토우 방언
  2. 오라바 방언
  3. 투리에츠 방언
  4. 상위 니트라 방언
  5. 즈볼렌 방언
  6. 테코우 방언
  7. 혼트 방언
  8. 노보흐라드 방언
  9. 게메르 방언
c)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은 스피슈, 샤리슈, 젬플린, 아보우 지역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 스피슈 방언
  2. 아보우 방언
  3. 샤리슈 방언
  4. 젬플린 방언
  5. 소탁 방언
  6. 우쉬 방언
  7. 고랄 방언
  8. 우크라이나 방언
  9. 다양한 방언 지역
  10. 헝가리 방언

이 그룹들은 다시 다양한 하위방언으로 나뉘게 되는데(각 마을마다 고유의 방언이 있다); 특히 산악지대는 다양한 방언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산이 많은 슬로바키아의 특성상 각 지방별로 언어적 고립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방언의 발달은 인구의 이동 및 이주, 다른 유형 방언과의 혼합, 식민지화, 이웃한 슬라브어권 언어 및 비슬라브어권 언어의 영향, 직업변화 등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방언의 본래 성질과 특정 특성의 발생에 따라, 헝가리,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및 기타 국가에서 동포들이 사용하는 슬로바키아 방언 역시 이 그룹에 포함됩니다. 기념물이나 문서에 쓰인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에 슬로바키아 방언은 슬로바키아어 역사 문법의 기본 정보원이 되고 있습니다.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Lozorno)

결혼에 관해

Nuž ale, ke com si ho vivoliua, no tak, teda bude že jako svadba. Tak, v Malackách bívali jarmaki, tak sem si k téj svadbje, on sa visuoviu, že ked aj svadba nebude z muzikú, ale nevjesta musí bid ovjenčená. No tag musela sem do tích Malaceg ít a pokúpit si to, co nevjestička potrebuje. Žeňichovi košilu a on zas prsté ki, ja péra do vjenca a paprika a rúžički a fšelico. Poščal mi štiri koruni na papriku, lebo mi nezbili. A to mi bude vitíkat asi po celí život, že mi poščal štiri koruni na papriku.

Tak teda došua domú, našua si kerá mi uvjeje vjenec, kerá mi šati ušije, kerá mňa teda obleče. A mňeua sem ušetreních z Rakú z repi pjecto korún. Za to sem si robiua svadbičku. Nakúpiua, cukr, pekar ňeco upékeu. Roďičú sem mňeua v Jabuoňovém, museua sem ít bez žeňícha ich volat. A šecko zestaviua si sama.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Vyšná Boca)

마티아쉬 왕과 목자

Prišľi valasi, bača dau každímu robotu. Jeden navariu halušiek a potom si sadli gu večeri. Král museu ťie s ňimi.

Jedli, jedli a ako jedli, Maťiaž viličkou si vzau škvarku o druhího kraja, ďe bača jeu. A bača mu pac po ruki: „U si misí každí zo svojho kraja jesť.“ Maťiaž ňidž ňepovedau, ale nahau tak.

Keť potom král prišieu domou na svoj dvor, dau urobiď velkú hosťinu a zavolau i baču. Pekňe ho preobliekli, tag abi hosťia ňeveďeli chto je a keď mali sadaď za stuol, Maťiaš král ho napomenú: „Vieš, čo si so mnou urobiu, ke com poblúďiu na polovački? Ak ťi to istuo ňeurobíš jednemu mojmu miňistrovi, čo tiež vždi druhímu spod úzd berie, buďeš sťaťí.“

동부 슬로바키아 방언(Záhradne)

어린시절의 추억

No tag od maľučka, jak som bula, hej? Ja som rodzena f Sordoku. Virosla som, ta bulo... veľki valal, dvačislovi. Dva čisla buľi. A som bula najkrajša dzifka i najbriča dzifka. Bo vecej ňebulo f calim valaľe. No a potim som ta kuščičko začala dzifčic, pochodzila som. Britka som ňebula, šumna som ňebula, no aľe frajira som mohla mac. A hej, no ta , ve com dorosla, tag mi bulo ośemnac rokoch som śe vidala do Zahradneho, dakedi to bul Šedikart. No muža som dostala, on bul toten, ňe ťesar, aľe kolar. Koľesar, hej. Mala som potim dzeci...

No a tak som mala jedno, druhe, trece, štvarte, pijate, šeste, śidme, osme, dzevjate. Že som teľo. No kuščičko zme maľi źemoch, aľe to bulo slabo, tagže som muśela tote kravi chovadz na cherbece. Tak som, rano som porodzila a o tidzeň som bula v ľeśe. A tri kilometre som ňesla zajdu na sebe, ze stražu. Taku že mohla mac pejdześat kila. A tri kilometre som ju ňesla do Zahradneho a pul druha tižňa tag bulo dzifčecu. No, to bulo jedno, som śe trapila.

위로 돌아가기